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ist map
- getChangePayload
- ktor api call
- kotlin collection
- 시행착오
- Zsh
- 독서
- exoplayer cache
- AWS EC2
- video caching
- android custom view
- llm
- 유튜브
- ktor client
- android ktor
- FastAPI
- ListAdapter DiffUtil
- 안드로이드
- android exoplayer
- 스피너
- doc2vec
- build with ai
- ListAdapter
- DiffUtil.ItemCallback
- map
- ExoPlayer
- android
- ChatGPT
- Python
- kotlin list
- Today
- Total
버튼 수집상
[유튜브] 0418에 시청한 유튜브 요약 본문
2024년 AI 시대에 개발자로 일하려면 마인드를 이렇게 바꾸세요
요약:
https://somoon.ai/ 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뭘 시켜도 돌아가게 만들 수 있는 신입을 요구한다.
"잘" 돌아가게 만드는 것은 회사에서 배우는 것. (대규모 트래픽 경험)
소수의 프로그래머가 chatGPT 비서를 부리는 산업구조가 될 것.
chatGPT에게 질문 잘 하는 법을 배운다.
10년이 지나도 아마추어인 사람과 업계 탑이 되는 사람의 차이
요약:
전문가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
다양한 문제를 만나보고, 그 안에서 성과를 내본 경험.
다양한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내 분야'가 아니더라도 해보는 것.
목표가 없는 일을 반복하면 물경력이 된다.
숫자나 결과물로 말할 수 있는 성과, 경력기술서를 작성해서 파악한다.
내 성과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Peer 평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마치면, 주변 사람에게 내 성과를 묻자.
질문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할 3가지.
1. 지시사항을 내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2. 지시받은 업무에 대한 기획(실행방안) 확인받기.
3. 과정에서 짧게짧게 중간보고 하기.
반복을 통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내 의도"가 들어가야 한다.
사라질 업무인데 반복한다면? -> 직무를 바꿔야할 때
상사를 설득할 때는 -> 결과물 중심으로 설명하기.
"상사의 강점을 활용하라"
일 잘하는 사람이 되려면
1. 기술 공부
2. 리더십 역량
리더십 역량없이 실무자로서 자기 일만 10년 했다 -> 아마추어
책임자, 팀장으로 올라서야만 커리어가 성장했다고 본다
(개인에게 있어서) '회사'라는 주체는, 따지고 보면 회사가 아닌 내 상사다.
감상:
시니어, 리더, 팀장이 될 미래를 상상하면서 커리어를 이어가야겠다.
요약:
Java 빌드 시간이 더 길어서 스타트업에서 Java를 안 쓰려고 하는 것이냐? 하는 우스갯소리 껄껄
어차피 서버 띄워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다.
한 프레임워크에 통달한(?) 사람들이 다른 프레임워크로 넘어갔을 때 적응을 잘 한다.
파이썬 쓰는 회사들: 요기요, AB180
'TIL -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0428~0519에 시청한 유튜브 요약 (0) | 2024.05.22 |
---|---|
[유튜브] 0414에 시청한 유튜브 요약 (0) | 2024.04.15 |
[유튜브] 면접관이 좋아하는 이력서 쓰기 (0) | 2023.11.13 |
[유튜브] 수학은 발견인가 발명인가? 영상 영어자막 Is Math A Discovery Or An Invention? Transcript (0) | 2023.10.23 |
[유튜브] 첫 직장, 이직시 쓰면 좋은 10가지 팁 (0) | 2023.06.08 |